보도자료

[성명서]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 의지에 역행하는 일회용품 규제 철회를 규탄한다

Date.2023-11-14 11:45:59

Hit.170

링크복사


[성명서]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 의지에 역행하는 일회용품 규제 철회를 규탄한다

-환경부의 책임 반기가 정책 실패의 원인이다

지난 7일 환경부가 발표한 ‘음식점·커피전문점·패스트푸드점 매장 내 종이컵 사용 금지’ 철회는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키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일회용품을 정부가 규제하지 않고, 국민의 자발적 참여로 감량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환경부는 일회용품사용을 저감하기 위해  ‘다회용품 사용에 필요한 비용 지원 등 인센티브를 통해 자발적인 일회용품 줄이기 실천을 독려하겠다’고 했다. 이는 더 이상 환경부가 환경부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환경부가 일회용품 규제를 포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2년부터 세종시와 제주도에서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도가 시범운영 되었고, 2025년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 9월, 환경부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시행 여부를 지자체 자율에 맡긴다고 발표했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도로 인해 제주도는 컵 반환율이 10%에서 70%까지 증가(KBS.9.18)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부는 전국적으로 확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제도를 백지화했다.
환경부가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1년만에 번복한 결과, 제주도에서는 일회용컵 반환량이 10월 첫째주 18만 7263개에서 넷째주 12만 3206개로  3주만에 34%나 감소했다. (ESG경제.11/7)
시민들과 업계는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환경부가 오히려 그 의지를 꺾었으며 이는 일회용품을 줄이려는 국제사회의 흐름에도 역행하는 일이다.

환경부는 일회용품 규제에 대해 ‘1년간의 계도기간을 가졌지만 아쉽게도 충분한 준비와 사회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1년간의 계도기간 동안 관련 제도를 정비하지 못하고 사회적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이 과연 누구의 책임인지 묻고 싶다.
작년 10월  환경부 의뢰로 여론조사기간 엠브레인퍼블릭이 전국 만 15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원순환 분야 정책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회용품 사용량 절감이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97.7%, 일회용품 규제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응답자가 87.3%에 달했다. 환경부는 국민과 소상공인을 편가르기 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불편하더라도 문제해결에 협력할 의지가 있음 시사한다.

기후위기를 해결할 골든타임은 이제 우리에게 약 5년 6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코로나, 홍수, 산불, 가뭄, 물가상승 등 일상에서 재난을 마주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서 시민과 기업을 설득하고 지속가능한 정책을 만들어 실행해야 한다. 최소한의 규제는 오히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견인하기도 한다. 환경부는 일회용폼 규제철회를 전면 수정하고 시민의식에 걸맞는 정책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하라. 

지지합니다

10

SNS 공유하기
  • kakao-김***********************

  • kakao-눈****

    지지합니다!!!

  • kakao-이******

    지지합니다

  • kakao-ㆍ

  • kakao-이*******************

    지지합니다

소비자기후행동 후원하기

소비자기후행동 1천원의 초록 약속

*현재 ‘참여하기’는 약정 상태이며 출금이 되지 않습니다. CMS출금 시작 전 문자메시지로 안내 드린 후 출금이 진행 될 예정입니다.

*후원금은 매 월 10일에 출금되며, 만일 출금이 되지 않을 시 27일에 재출금 됩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입 후 연말정산을 위한 개인정보를 꼭 입력해 주세요.

*14세 미만 후원자는 법정 대리인 동의 후 후원이 가능하니 후원관리팀으로 연락을 주세요.

*단체 후원 관련 문의는 후원관리팀(02-2181-7912) 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